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요 탄력성과 공급 탄력성의 적정 수치

by 푸른 하늘과 바다 2024. 6. 12.

1. 수요 탄력성

수요 탄력성은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의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변할 때 수요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요 탄력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1. 완전 탄력적 수요 (Perfectly Elastic Demand):

-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가 무한대로 변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가격이 조금만 변해도 수요가 완전히 사라지거나 무한히 증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수평선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2. 완전 비탄력적 수요 (Perfectly Inelastic Demand):

-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가 전혀 변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가격이 어떻게 변하든 수요가 변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수직선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3. 단위 탄력적 수요 (Unit Elastic Demand):

-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 변화가 정확히 같은 비율로 일어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가격이 1% 오르면 수요도 1% 증가합니다.

이 경우에는 수요 탄력성이 1에 가깝습니다.

 

4. 상대적으로 탄력적 수요 (Relatively Elastic Demand):

-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 변화가 비교적 큰 경우를 말합니다.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그에 비례하여 크게 감소하거나, 가격이 내려가면 수요가 그에 비례하여 크게 증가합니다.

이 경우에는 수요 탄력성이 1보다 큽니다.

 

5. 상대적으로 비탄력적 수요 (Relatively Inelastic Demand):

-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 변화가 비교적 작은 경우를 말합니다.

가격이 오르더라도 수요가 그에 비례하여 적게 감소하거나, 가격이 내려가더라도 수요가 그에 비례하여 적게 증가합니다. 이 경우에는 수요 탄력성이 1보다 작습니다.

 

수요 탄력성은 가격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격외적 요인으로는 수요자의 소득 수준, 상품의 대체품 및 보완재의 가용성, 시간적 요소 등이 있습니다.

 

2. 공급 탄력성

공급 탄력성은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의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변할 때 공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공급 탄력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1. 완전 탄력적 공급 (Perfectly Elastic Supply):

- 가격 변화에 따라 공급이 무한대로 변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가격이 조금만 변해도 공급이 완전히 사라지거나 무한히 증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수평선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2. 완전 비탄력적 공급 (Perfectly Inelastic Supply):

- 가격 변화에 따라 공급이 전혀 변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가격이 어떻게 변하든 공급이 변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수직선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3. 단위 탄력적 공급 (Unit Elastic Supply):

-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 변화가 정확히 같은 비율로 일어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가격이 1% 오르면 공급도 1% 증가합니다.

이 경우에는 공급 탄력성이 1에 가깝습니다.

 

4. 상대적으로 탄력적 공급 (Relatively Elastic Supply):

-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 변화가 비교적 큰 경우를 말합니다.

가격이 오르면 공급이 그에 비례하여 크게 증가하거나, 가격이 내려가면 공급이 그에 비례하여 크게 감소합니다.

이 경우에는 공급 탄력성이 1보다 큽니다.

 

5. 상대적으로 비탄력적 공급 (Relatively Inelastic Supply):

-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 변화가 비교적 작은 경우를 말합니다.

가격이 오르더라도 공급이 그에 비례하여 적게 증가하거나, 가격이 내려가더라도 공급이 그에 비례하여 적게 감소합니다.

이 경우에는 공급 탄력성이 1보다 작습니다.

 

공급 탄력성은 가격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격외적 요인으로는 생산 비용의 변화, 기술적 요인, 공급자의 시간적 유연성 등이 있습니다.

 

3. 수요 탄력성과 공급 탄력성의 적절한 수치

수요 탄력성과 공급 탄력성의 적정 수치는 시장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정해진 특정 수치가 없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수요 탄력성:

- 수요 탄력성이 1보다 큰 경우 (상대적으로 탄력적인 경우):

가격이 상대적으로 조금만 상승해도 수요가 크게 감소하는 상황이라면, 이는 상대적으로 탄력적인 수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시장에서 가격이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경제 활동에 대한 조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가격 변동에 따른 수요 변화가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공급 탄력성도 높은 것이 바람직합니다.

- 수요 탄력성이 1보다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인 경우):

가격이 조금 변해도 수요가 크게 변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이는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인 수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격 변동에 따른 수요 변화가 적기 때문에 시장에서 가격이 변동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이 경우, 공급 탄력성이 높지 않더라도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공급 탄력성:

- 공급 탄력성 역시 수요 탄력성과 마찬가지로 시장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는 수요 탄력성과 공급 탄력성이 서로 일치하는 것이 시장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수요 탄력성과 공급 탄력성의 적정 수치는 시장의 특성과 조건에 따라 다르며, 이를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시장에서의 실제 데이터와 경험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경제학 이론에 따라 이러한 탄력성을 측정하고 해석합니다.